반응형
#1 명령문
명령문은 명령 • 요구 • 희망 • 금지 등을 나타내는 문장이다. 보통 주어 You를 생략하고 원형으로 시작한다. 문장의 끝에는 마침표 (.) 를 붙이지만, 감정을 넣을 경우에는 느낌표 (!) 를 붙이기도 한다.
◆ 2인칭에 대한 명령문 | |||
① | 긍정형의 명령문 : 주어 You 를 생략하고 원형으로 시작한다. | ||
Take your time. 천천히 하세요. |
|||
Be kind to old people. 노인에게 친절히 하시오. * 사실상 You 가 없기 때문에 원형을 사용하는 것이므로 Are 가 아니라 Be 가 되는 점에 주의한다. 강조를 하거나 누구에게 말하는지를 분명히 하기 위해서 You 〔everyone, anybody 따위〕 를 쓰는 경우가 있다. |
|||
You do as I say. 너, 내가 말한 대로 해야 한다. |
② | 부정형의 명령문 - Don′t … 나 Never … 를 사용한다. be 동사일 경우에도 Be not … 은 문어적이어서 일반적으로 Don′t be … 를 사용한다. | ||
Don′t waste your time. 시간을 낭비하지 마라. |
|||
Don′t be in such a hurry. 그렇게 허둥대지 마라. |
|||
Never say die. 죽는 소리 좀 하지 마라. |
◆ let 을 사용한 1인칭 • 3인칭에 대한 명령문 | |||
① | 1 인칭의 경우 | ||
Let me buy you a drink. 내가 한 잔 사겠다. |
|||
Let us help you. 우리가 너를 돕게 해 줘. * Let′s 〔lets〕 는 권유를 나타낸다. |
② | 3 인칭의 경우 | ||
Let him have his own way. 그가 좋을 대로 하게 해라. |
|||
Don′t let them say what they want to. 그들이 하고 싶은 대로 말하게 하지 마라. |
#2 감탄문
기쁨 • 슬픔 • 놀람 등의 감정을 나타내는 문장을 감탄문이라 한다. 보통 의문사 what 이나 how 로 시작되며, 문장의 끝에 느낌표 (!) 를 붙인다.
◆ 감탄문의 형식 (1) | |||
① | How+형용사 〔또는 부사〕+S+V ~ ! | ||
How boring this is ! 이거 정말 따분하기 짝이 없군 ! |
|||
How beautifully you sing ! 당신은 정말 너무나 아름답게 노래를 부르는군요 ! |
|||
How well she remembered the first time she had seen him ! 그녀는 그를 처음 만났던 일을 너무나도 잘 기억하고 있었어요 ! |
|||
How it blows ! 바람이 얼마나 세게 부는지! * 형용사 또는 부사를 생략하기도 한다. |
◆ 감탄문의 형식 (2) | |||
② | What+a 〔an〕+형용사+명사+S+V ~ ! | ||
What a bad cough he has! 그는 너무 심하게 기침을 해요! |
|||
What a voyage they had ! 그들은 정말 멋있는 〔혹독한〕 항해를 했다 ! * 이 문장에는 형용사가 없지만 문맥상 어떤 형용사가 적절한지 판단한다. |
|||
다음두 문장을 비교 What man is he? 그는 어떤 사람입니까? What a man he is ! 무슨 남자가 저래 ! |
◆ 감탄문의 형식 (3) | |||
③ | How+형용사+a 〔an〕+명사+S+V ~ ! | ||
How empty a thinker he is ! 그가 정말 터무니 없는 사상가이다 ! 《문어적》 |
|||
What beautiful weather we have ! 정말 아름다운 날씨야 ! What lovely flowers they are ! * 셀 수 없거나 복수형의 명사일 경우에는 부정관사를 쓰지 않는다. |
◆ 생략형의 감탄표현 - 〈 s+v ~ 〉가 생략 | |
How exciting (the game is) ! 너무너무 신나는 시합이야! |
|
How kind of you ! 정말 친절하시군요 ! |
|
What a man ! 정말 지독한 사람이군 ! |
|
What a surprise ! 아이고, 깜짝이야 ! |
◆ 감탄문과 의문문의 구별 | |
How cold it is! 몹시 추운 날씨야! 〈 S+V 〉 〔감탄문〕 |
|
How cold is it? 얼마나 춥습니까? 〈 V+S 〉 〔의문문〕 |
|
그러나 예외도 있다. 예를 들면, 문어에서는 다음과 같이 표현하기도 한다. | |
How pretty is this flower ! 이 꽃이 얼마나 예쁜지 ! |
#3 기원문
감탄문 중에서 소망을 나타내는 문장을 기원문이라 한다. 〈 May+S+V 〉 또는 가정법으로 나타내는데 , 둘 다 문어적 표현이다.
◆ 〈 May+S+V 〉 형의 기원문 | |
May 를 문두에 두고 「-가 ~ 하시길 (빈다) 」 이라는 소망을 나타낸다. | |
May the Queen live long ! 여왕의 만수 무강을 ! |
|
May I never see the like again ! 이런 일을 두 번 다시 보고 싶지 않아요 ! |
◆ 가정법을 사용한 기원문 | |||
① | 가정법 현재의 경우 - 가정법 현재이기 때문에, 동사는 원형을 사용한다. | ||
God save the Queen ! 여왕 만세 ! |
|||
Grammar be hanged ! 빌어먹을 놈의 문법 ! |
② | 가정법과거 • 과거완료의 경우 | ||
I wish he were here now. 그가 지금 여기 있다면 좋을 텐데. |
|||
I wish I had been at the beach yesterday. 내가 어제 바닷가에 갔더라면 좋았을걸. |
③ | 생략형으로서 다음과 같은 형식도 있지만, 모두 문어적인 표현이다. | ||
Oh ! to be in England ! 아, 영국에 있다면 좋을 텐데 ! |
|||
Oh ! that I could go ! 아, 내가 갈 수 있다면 좋으련만 ! |
◆ 오늘날 구어에서는 소원이나 기원을 어떻게 나타내는가? | |
hope, wish, pray 등을 사용한다. | |
I hope he succeeds 〔will succeed〕 . 나는 그가 성공하길 바란다. |
|
We′re praying for a fine day. 우리는 날씨가 좋은 하루가 되길 바라고 있다. |
|
I wish you good luck. 행운을 빕니다. * 위의 표현보다 Good luck ! 이라는 표현이 더 구어적이다. |
반응형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