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평서문이나 명령문 뒤에 덧붙이는 간단한 의문형식의 문장을 부가의문이라한다. 구어의 특유한 어법으로서 보통의 부가의문과 특수한 부가의문의 2종류가 있다.
1. 긍정문, 부정문, 명령문, Let's ~, be used to ~ 뒤에 붙는 부가의문
2. 특수한 부가의문
#1 보통의 부가의문
◆ 보통의 부가의문문 | |||
① | 보통의 부가의문은 말하는 이가 듣는 이에게 말한 내용을 확인하거나 동의를 구하는 것으로서 대개 긍정 문에는 부정형, 부정문에는 긍정형이 사용된다. 상승조로 말할 때는 상대에게 동의를 구하는 의문문적 색채가 강하고, 하강조는 자기가 한 말에 자신을 갖고 확인을 구하는 기분이 강하다. | ||
You′ve met my cousin, haven′t you? 상승조 - 내 사촌을 만났습니까? 하강조 - 내 사촌을 만나셨지요. |
|||
You don′t like him, do you? 상승조 - 그 사람이 싫으세요? 하강조 - 그 사람이 싫은가보군요 |
② | 부가의문에서 격식을 차린 표현과 스스럼없는 표현에는 차이가 있다. | ||
I am the president of this company, am I not? 나는 이 회사의 사장이다. 그렇지 않은가? 《격식을 차린 표현》 |
|||
I′m going to see you later at the game, aren′t 〔ain′t〕 I? 나중에 시합 때 보자구. 《스스럼없는 표현》 |
#2 특수한 부가의문
◆ 특수한 부가의문문 | |
긍정문 뒤에 긍정형, 부정문 뒤에 부정형의 부가의문이 이어지는 경우가 있다. 이 때는 상승조로 발음하고, 상대가 한 말에 대한 관심 • 의문, 때로는 야유 따위를 나타낸다. Oh 나 So 가 붙는 경우가 많다. | |
“Bob expects to learn Japanese in two weeks.” ➜ “Oh, he expects to learn Japanese in two weeks, does he? Then he will have to work sixteen hours a day.” 보브는 일본어를 2 주일 만에 익히겠대. - 뭐라고, 일본어를 2 주일 만에 익히겠다고? 그렇다면 하루에 16 시간은 공부하지 않으면 안 될 거야. |
|
So he wouldn′t come, wouldn′t he? 그렇다면 그는 안 온다는 거야? |
#3 긍정문에 붙는 부가의문
◆ 긍정문에 붙는 부가의문 | |||
긍정문에는 부정의 부가의문을 붙인다. | |||
① | be 동사가 있는 경우 : 인칭 • 시제에 따라서 aren′t 〔isn′t, wasn′t, weren′t〕 ...? 등을 붙인다. | ||
I′m right, aren′t I? 내가 옳지요? |
|||
That′s unfair, isn′t it? 그건 부당하지 않나요? |
|||
There are ten more days until Christmas, aren′t there? 크리스마스까지는 아직 열흘 더 있지요? * There is 구문에서는 there 가 부가의문의 주어처럼 쓰인다. |
② | 일반동사가 있는 경우 : don′t 〔doesn′t, didn′t〕 ~ ? 를 붙인다. | ||
You like brandy, don′t you? 브랜디 좋아하지요? |
|||
Your wife cooks well, doesn′t she? 당신의 아내는 요리 솜씨가 좋군요. |
|||
We got home very late, didn′t we? 우리가 아주 늦게 집에 왔지요? |
③ | 조동사가 있는 경우 : can′t 〔mustn′t, shouldn′t, oughtn′t, won′t〕 ~ ?를 붙인다. | ||
We must answer the letter, mustn′t we? 편지의 답장을 보내야지요? |
|||
You can help him, can′t you? 그를 도와주실 수 있지요? |
#4 부정문에 붙는 부가의문
◆ 부정문에 붙는 부가의문 | |||
부정문에는 긍정의 의문문을 붙인다. | |||
① | be 동사가 있는 경우 : 인칭 • 시제에 따라서 am 〔are, is, was, were〕 ~ ? 등을 붙인다. | ||
I′m not wrong, am I? 나는 틀리지 않지요? |
|||
Money isn′t everything, is it? 돈이 전부는 아니지요? |
|||
There is no need to hurry, is there? 서두를 필요 없지요? |
② | 일반 동사가 있는 경우 : do 〔does, did〕 ~ ? 를 붙인다. | ||
You don′t know his address, do you? 당신은 그의 주소를 모르지요? |
|||
Sue doesn′t like onions, does she? 수는 양파를 안 좋아하지요? |
③ | 조동사가 있는 경우 : can 〔will, should, must 등〕 ~ ? 을 붙인다. | ||
She can′t dance, can she? 그녀는 춤을 못 추지요? |
|||
You wouldn′t tell anyone, would you? 너는 아무한테도 말하지 않을 거지? |
|||
We oughtn′t to be too optimistic, ought we? 너무 낙관할 것은 못되지요? |
④ | not 이외의 부정인 경우의 부가의문 : 부가의문 앞의 문장에 not, never, no 이외의 부정어 hardly, scarcely, barely, seldom, rarely, little, few 등이 있어도 부가의문은 일반적으로 긍정이 된다. | ||
They seldom go anywhere, do they? 그들은 좀처럼 아무 데도 가지 않지요? |
|||
The accident victim could hardly walk, could he? ➜ 사고의 피해자는 거의 걸을 수 없었지요? |
#5 명령문에 붙는 부가의문
◆ 명령문 뒤에 붙는 부가의문 | |||
명령문 뒤에 will you? 를 붙여 상승조로 말하면 부드러워진다. | |||
① | 긍정의 명령문에 붙는 부가의 문은 will you? 이외에도 won′t you?, would you?, can you?, can′t you?, could you? 등이 있다. | ||
Take a seat, will you 〔won′t you〕 ? 자리에 앉아 주시 겠습니까? 〔자리에 앉아 주시지 않겠습니까? * 이 will you? 를 하강조로 말하면 좀 딱딱해진다. 또, won′t you? 가 will you? 보다 더 공손하고 권유의 뜻이 강하다. |
② | 부정의 명령문에는 won′t you? 는 붙일 수 없고, will you 만 가능하다. | ||
Don′t touch the silver, will you? 은그릇은 만지지 마세요. |
|||
③ | ⒝ 가 ⒜ 보다 덜 공손하고, 말하는 이의 안타까움이 한층 강하게 내포되어 있다. | ||
⒜ Speak quietly, will you? 조용히 말씀해 주시겠습니까? |
|||
⒝ Speak quietly, can′t you? 조용히 말할 수 없겠소? |
#6 Let's ~ 뒤에 붙는 부가의문
◆ Let′s ~ 뒤에 붙는 부가의 문권유의 표현 | |||
① | Let′s ~ 뒤에는 shall we? 를 붙여 상승조로 읽는다. 그러나 이러한 표현은 현재 미국에서는 좀 낡은 표현이다. | ||
Let′s wait a little longer, shall we? 좀더 기다려 봅시다. |
|||
Let′s not discuss politics. Let′s discuss economics, shall we? 정치 이야기는 하지 맙시다. 경제에 관한 이야기를 하는 게 어떨까요? |
#7 be used to ~에 붙는 부가의문
◆ be used to get up early 에 붙는 부가의문은? | |||
① | didn′t he? 붙이는 것이 보통이지만, use(d)n′t he? 가 쓰이기도 한다. | ||
used to의 부정형은 《영국》식 표현법으로는 used not to〔use(d)n′t to〕 가 되지만, 구어나 《미국》에서는 didn′t used〔use〕to 가 더 많이 쓰인다. | |||
본문이 부정문일 때의 부가의문도 He didn′t used〔use〕 to ~, did he? 가 보통이지만, He used not to ~, used he? 가 쓰이기도 한다. |
반응형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