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문장의 종류 (의미상)/긍정문과 부정문

평서문의 긍정문과 부정문

by 이포유 2023. 2. 11.
반응형

1. 평서문

2. 긍정문

3. 부정문

4. 부정문 만드는 방법

5. not의 단축형

#1 평서문 (Declarative Sentence)

◆ 평서문
말하는 이가 어떤 사실을 평범하게 서술하는 문장을 평서문이라 하고, 긍정문과 부정문의 2 종류가 있다. 
글로 쓸 때 는 마침표 〔.〕 로 끝난다. 말할 때는 대개 하강조로 끝난다.
Birds will not eat in the dark.
새는 어두운 곳에서는 먹지 않는다.
대개 〈 S+V 〉의 어순으로 이루어져 있다.
The sun rises in the east.
해는 동쪽에서 뜬다.


#2 긍정문

◆ 긍정문
진술을 긍정 • 단언하는 문장을 긍정문이라 한다.
Japan is an industrial country.
일본은 공업국이다.

 

평서문의-긍정문과-부정문
평서문의-긍정문과-부정문

#3 부정문

◆ 부정문
부정어를 사용하여, 진술을 부정하는 문장을 부정문이라 한다.
I didn′t go swimming yesterday.
나는 어제 수영하러 가지 않았다.
I had no idea that you were interested in pop music.
나는 당신이 대중 음악에 흥미를 갖고 있다는 것을 몰랐다.
Nobody has passed the test.
시험에 합격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.

 

#4 부정문 만드는 방법
◆ 부정문을 만드는 방법
be 동사 • 조동사의 경우에는 뒤에 not을 둔다.
This sofa is comfortable.
이 소파는 안락하다.
➔ This sofa is not comfortable.
이 소파는 안락하지 않다.
Philip can play chess.
필립은 서양 장기를 둘 줄 안다.
➔ Philip cannot play chess.
필립은 서양 장기를 둘 줄 모른다.
일반동사의 경우에는 동사 앞에 do 〔does, did〕 not 등을 둔다.
I shop at the supermarket.
나는 그 슈퍼마켓에서 물건을 산다.
➔ I do not shop at the supermarket.
나는 그 슈퍼마켓에서 물건을 사지 않는다.

 

#5 not의 단축형
◆ not 의 단축형
not 은 be 동사나 조동사와 결합하여 단축형을 만든다. 그 중에서 어형이나 발음에 있어서 주의해야 할 것이 있다.
I′m a good cook, aren′t I?
나, 요리 잘 하지?
am not - aren′t 〔a:rnt〕
* 《영국》에서는 대개 의문문에서 쓰인다.
⒜ ain′t : amn′t 는 발음하기 어려워서 스코틀랜드나 아일랜드 이외에서는 별로 쓰이지 않는다.
⒝ ain′t 는 am 〔are, is, have, has〕 not 의 단축형이지만 비표준어이다. 그러나, ain′t I? 의 형태로  《미국 • 구어》 에서는 비교적 잘 쓰인다.
can not - can′t
do not - don′t
must not - mustn′t
shall not - shan′t
used not - use(d)n′t
will not - won′t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