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명사/복수형으로만 사용하는 것

절대복수 (항상 복수)

by 이포유 2023. 2. 7.
반응형

항상 복수형으로 (또는 의미에 따라서 항상 복수형으로) 쓰이는 명사가 있는데, 절대복수라고도 한다.

1. 의류 및 각종 도구류
2. 학문 • 학과명
3. 게임 따위의 이름
4. 병명
5. 기타
 

#1 의류 및 각종 도구류

◆ 의류 및 각종 도구류
「바지」 「가위」 처럼 같은 모양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 의류 • 도구 등을 나타내는 명사는 일반적으로 복수형으로 쓰인다. 그러나 구두나 양말 등과 같이 둘로 나눌 수 있는 것의 한쪽만을 가릴킬 경우에는 단수형으로 되는 것도 있다.
ex) glove〔s〕(장갑), compasses (컴퍼스), shoes (구두), glasses (안경), sock〔s〕(양말), scissors (가위), trousers (바지), shears (큰 가위 )
  셀 때는 a pair of ~, two pairs of ~ 라고 하는 것이 보통이고 two trousers 처럼 수사를 직접 붙이는 것은 《구어적》 이다. a pair of ~ 는 일반적으로 단수로 취급하지만 복수로 취급하기도 한다.
A new pair of glasses is what you need.
새 안경이 너에게 필요한 것이다. 〔동사가 is 로 단수 취급〕
* 형용사는 pair 쪽에 붙는 것이 보통이다. 그러나 a pair of new shoes 와 같이 뒤의 명사에 붙이기도 한다.
I like this pair of socks. How much is it 〔are they〕 ?
이 양말이 좋군요. 얼마 입니까? 〔대명사가 they 일 때는 복수 취급〕
a garden shears (정원용 큰 가위) 와 같이 부정관사가 붙기도 한다. 위와 같은 명사가 형용사적으로 쓰일 경우에는 단수형으로 되는 경우가 많다.
a trouser pocket (바지주머니) , a pajama top (파자마의 상의) , 그러나 a trousers pocket 이라는 형식도 있다.
「안경 케이스」는 a glasses case 라 하며 , a glass case (유리 상자) 와 구별한다. 《영국》 에서는 spectacle case 라고 한다.

 

#2 학문, 학과명

◆ 학문 • 학과명
-ics 로 끝나는 것으로, 일반적으로 단수로 취급한다.
Linguistics is the science of language.
언어학은 언어를 연구하는 학문이다.
Statistics does not interest me.
통계학은 내 흥미를 끌지 못한다.
학문명이 아니고 구체적인 수단이나 결과를 나타낼 때는 복수로 취급된다.
The President′s politics are rather conservative.
대통령의 정견은 다소 보수적이다.
These statistics show deaths per 1,000 of population.
이 통계 숫자는 인구 1000 명당 사망률을 나타낸다.
-ic 로 끝나는 학문명, 기술명도 있다.
  arithmetic (산수) , music (음악) , logic (논리학) , rhetoric (수사학)

 

절대복수
절대복수


#3 게임 따위의 이름

◆ 게임 따위의 이름
일반적으로 단수로 취급한다.
billiards (당구)
cards (카드 놀이)
marbles (구슬치기 )
a billiard table (당구대) 의 경우와 같이 형용사적으로 쓰일 때는 단수형으로 되는 예가 많지만, a billiards table 이라고도 한다.

 

#4 병명
◆ 병명
일반적으로 단수로 취급하지만, 복수로 취급하기도 한다.
measles (홍역)
the blues (우울증)
smallpox (천연두)
pox 는 pocks (농포) 가 변한 것

#5 기타
◆ 기타
일반적으로 복수로 취급하는 것
arms (무기), clothes (옷), contents (내용), goods (상품), manners (예의 범절), means (재산), pains (수고), riches (재산), stairs (계단)
suburbs (교외) , bowels (창자) , entrails (내장) , intestines (장) , brains (두뇌) , wages (임금) , woods (숲) 따위는 단수형으로도 쓰이지만 복수형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. 그리고 pains 는 보통 great pains (많은 수고) 라고 하는데, 이것을 받는 동사는 오늘날 복수형으로 쓰는 경우가 많다.
일반적으로 단수로 취급하는 것
  customs (세관), news (뉴스), gallows (교수대), the tropics (열대 지방)
단수와 복수 2가지로 취급하는 것
amends (변상), headquarters (본부), means (수단), oats (귀리), tidings (소식), customs (관세)
*위의 단어는 단수로 취급할 때에도 보통 부정관사 a 〔an〕 를 붙이지 않는다.
이에 반해 다음과 같은 명사는 단수 • 복수 동형으로서 단수인 경우는 부정관사가 붙기도 한다.
links (골프장) , species (종) , works (공장)
반응형

댓글